当前位置: X-MOL 学术Art History › 论文详情
Our official English website, www.x-mol.net, welcomes your feedback! (Note: you will need to create a separate account there.)
Moshu: Ink Inscriptions on the Walls of the Song-Jin Tombs and Their Visual Significance
Art History ( IF 0.3 ) Pub Date : 2017-02-28 , DOI: 10.14769/jkaahe.2017.02.33.7
Minkyung Ji

중국의 고대 묘실 벽화 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묵서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다. 구체적으로 묵서는 벽화 이미지 해석 시 참조되는 설명문으로, 공인의 작업을 지시하는 숨겨진 안내서로, 또는 묘주의 신분과 업적을 기록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된 바 있다. 그 중에서 기존의 연구는 묘지명을 대체하는 문자기록으로써의 묵서의 기능에 집중하였고 따라서 묵서는 피장자의 삶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사회 환경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 정보원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단순한 역사 기록물로 보기에 묵서는 기존의 묘지명을 비롯한 부장 기록물들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면 묵서에는 특별한 문장 형식이 발견되지 않고 문법도 무시되기에, 재료와 장식, 문장 형식 등에서 규칙을 보이는 묘지명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그 내용도 묘주를 비롯한 고분 축조에 관련된 자들, 즉 후손과 묘지 건설자 등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담아내고 있어 묘주의 업적과 가문의 위세를 칭송하는 전통적인 묘지문과는 구별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묵서에 관한 인식을 재고하고 기록물이 아닌 묵서의 다른 기능과 의미를 찾아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북송·금대 묘실 벽화 속 묵서에 주목한다. 한대에서 시작하여 위·진시기까지 유행하다 사라져버린 묘실 묵서는 북송 말엽의 벽화묘에서 다시금 나타나는데, 기존의 묵서와 달리 그 형식과 내용이 다양해진다. 북송 이후의 묵서의 재출현은 벽화묘의 대량생산과 유행에 의한 것인데 이는 궁극적으로 벽화묘 주문자에게 일어난 변화를 암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벽화묘 주문자의 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이러한 특성이 묵서의 형식과 내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나아가 묵서는 반드시 벽화와 함께 출현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묵서를 기록물이 아닌 벽화의 종속 이미지로 바라보며, 묘실 벽화 이미지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묘실 벽화 속 묵서는 문자의 권위를 지닌 이미지로써 그려졌으며 벽화에 보이는 상징성이 강한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묘주와 후손의 부와 권위에 대한 사회적 욕망을 시각화하는 도구로 활용되었음을 밝힌다.

中文翻译:

墨书:宋金墓壁墨刻及其视觉意义

중국의 고대 묘실 벽화 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묵서는 다양한 형태로 닚니었중국의 고대 벽화 흔히 발견되는 구체적으로묵서는벽화이미지해석시참조되는설명문으로,공인의작업을지시하는숨겨진안내서로,또는묘주의신분과업적을기록하는용도등으로활용된바있다。그중에서기존의연구는묘지명을대체하는문자기록으로써의묵서의기능에집중하였고따라서묵서는피장자의삶뿐만아니라그가속한사회환경을엿볼수있는중요한역사정보원으로인식되어왔다。그러나 단순한 역사 기록물로 보기에 묵서는 기존의 묘지명을 비롯한변싥볬볬볼볼로 보기에 묵서는 단순한 역사 기록물로 보기에 묵서는 예를들면묵서에는특별한문장형식이발견되지않고문법도무시되기에,재료와장식,문장형식등에서규칙을보이는묘지명과는뚜렷하게구분된다。또한그내용도묘주를비롯한고분축조에관련된자들,즉후손과묘지건설자등다양한사람들의생각과감정을담아내고있어묘주의업적과가문의위세를칭송하는전통적인묘지문과는구별된다。본논문에서는기존의묵서에관한인식을재고하고기록물이아닌묵서의다른기능과의미를찾아내고자한다。이를 위해 본 논문은 북송·금대 묘실 벽화 속 묵서에 주목한다。한대에서시작하여위·진시기까지유행하다사라져버린묘실묵서는북송말엽의벽화묘에서다시금나타나는데,기존의묵서와달리그형식과내용이다양해진다。북송이후의묵서의재출현은벽화묘의대량생산과유행에의한것인데이는궁극적으로벽화묘주문자에게일어난변화를암시한다。본논문에서는벽화묘주문자의특성을분석함과동시에이러한특성이묵서의형식과내용변화에어떠한영향을미쳤는지알아본다。나아가묵서는반드시벽화와함께출현한다는사실에근거하여묵서를기록물이아닌벽화의종속이미지로바라보며,묘실벽화이미지의맥락에서그의미를파악하고자한다。결론적으로본논문은묘실벽화속묵서는문자의권위를지닌이미지로써그려졌으며벽화에보이는상징성이강한다른이미지들과함께묘주와후손의부와권위에대한사회적욕망을시각화하는도구로활용되었음을밝힌다。
更新日期:2017-02-28
down
wechat
b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