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에서는 송대 자기, 옥기, 금속기, 칠기 등의 공예품, 禮書, 金石學書, 문헌기록 등에 보이는 이룡문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고려청자 이룡문의 도상적 특징과 연원을 찾고, 제작되는 배경과 시기, 상징적 의미, 용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룡문 고려청자의 기종, 시문기법, 번조받침 등을 분석한 결과, 이룡문은 특정한 기형의 청자에만 보이며, 시문방법은 주로 음각과 압출양각기법이 사용되었다. 번조받침은 대부분 규석을 사용하여 최고 품질로 제작되었고, 백색내화토빚음 받침도 일부 확인되었다. 이룡문 고려청자의 이러한 특징을 통해서 제작 시기를 12세기 전반 경으로 좁혀볼 수 있었다.
송대 공예품에서 이룡의 등장은 고대 옥기나 청동기 등에 대한 수집 및 연구가 본격화되고, 이와 관련된 자료가 수록된 呂大臨의 考古圖가 완성되는 1092년부터 휘종 연간(1100-1125)으로 추정된다. 이룡문은 북송대 중기 이후에 유행하는 ‘仿古’ 열풍으로 등장하는 것이며, 휘종제의 옥새, 옥배, 황실용 자기에 문양으로 사용된 예와 문헌기록을 통해서 황제와 관련되는 상징성을 확인하였다.
고려청자의 이룡문은 고고도에 수록된 고대 옥기의 이룡문과 매우 유사하여, 북송대 간행되는 고고도와 같은 금석학서나 ‘仿古’ 옥기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고려 12세기 1/4분기 경에 적극적으로 수용된 북송대 문물 중에 고고도나 ‘仿古’ 옥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고려청자의 이룡문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12세기 최고 품질의 고려청자에 이룡문이 사용된 주요 원인은 왕과 관련되는 이룡의 상징적 의미라고 판단하였다. 이룡은 황제 또는 왕이 갖춰야 하는 五德중에 土德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동물이었고, 1131년에 정지상의 祭文에서도 토덕을 왕의 필수 덕목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가마터에서 발견되는 많은 수량의 이룡문이 표현된 잔탁, 주자, 접시, 발 등은 왕실 의례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present text focuses on determining the iconography and origin of the Goryeo celadon Chilong design as well as the design’s production background, production period, symbolism and function.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a study of Song dynasty porcelains, jades, metalware, lacquerware and other handicrafts as well as the book of rites and other related historical records.
An analysis of the Chilong Goryeo celadon vessel types, decoration techniques and firing supports shows that the Chilong design is present only on special celadon vessel types. The design has been applied by either incision or with a mold and the celadons were fired to the best quality using mostly silica firing supports although supports made of white refractory clay were also sometimes used. Based on the celadons’ formal qualities, the type of firing supports used during production and decoration techniques, production of the Chilong Goryeo celadon most likely took place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As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ancient jades and metalwares began to take on a systematic approach, scholars estimated that the Chilong design first began to appear on Song dynasty handicrafts in 1092 when Lü Dalin completed Kaogutu (Illustrations for the Study of Antiquity), approximate to the reign of Emperor Huizong (r. 1100-1125). The Chilong design was one of several elements to become popular during the archa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id-Northern Song dynasty as evidenced by its application on the royal seal, jade cups and royal porcelain of Emperor Huizong as well as references to its royal symbolism in several historical records.
The Chilong designs found on Goryeo celadons are modeled after those featured on the Ding ware of the late Northern Song dynasty, qingbai ware of Jingdezhen and the ancient jades included in the text Kaogutu completed in 1092. The Chilong designs of the Goryeo celadons and jades of Kaogutu are especially similar and can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rites, ancient jades and the ‘antique’ jade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s Goryeo actively embraced several cultural products or aspect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during the first quarter of the 12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some of these products included Kaogutu and ‘antique’ jades among other such objects that influenced the Chilong design of the Goryeo celadons.
Lastly, the Chilong design was mostly used on only the best quality celad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symbolic meaning of the design and its direct relevance to the king. The Chilong is an auspicious animal that represents the ‘virtue of earth’, one of the ‘five virtues’ that an emperor or king must possess. As dictated in the funeral oration of civilian official Jeong Jisang in 1131, the ‘virtue of earth’ is an essential virtue required of all king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large number of ewers, plates, cups, bowls, etc. decorated with the same Chilong design and discovered at the same kiln site were most likely vessels used in rituals.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청자 이룡문의 窯址 출토 양상과 圖像
Ⅲ. 송대 螭龍紋의 유행과 고려청자와의 관련성
Ⅳ. 고려청자 이룡문의 도상적 연원과 상징적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4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